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쿠팡
- 인플레이션
- 2월 증시
- 2021년 가치주
- LG화학
- 저평가 실적주
- 종목 추천
- 한국 대표 가치주
- 2차 전지
- 대표적 경기 민감주
- 경기민감주
- 실적주
- 2021년 주도주
- 가치주
- 2021 실적주
- 주도주
- 금리 상승
- 반도체
- 업종별 분석
- 3월 주식 전망
- 가치주 추천
- 주식시장 전망
- 국내 주식 전망
- 금리
- 2021 주도주
- 네이버
- 실적주 추천
- 버즈 프로
- 성장주
- 주식 전망
- Today
- Total
목록국내 주식 전망 (4)
경제적 자유를 위해
국채 금리 상승세 진정 속 경제 지표 호조와 부양책 도입 기대로 주가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1월 중순 이후 박 시권 내에서 상승이 정체되고 있습니다. 현재 코스피 밸류에이션은 2월 초 13.5배에서 2월말 13.3배까지 하락했습니다. 증시 상승의 주된 원동력이였던 개인의 매수세는 1월 이후 둔화되고 있고, 1월 12일 사상 최고 74.5조 원의 예탁금을 보였지만, 2월 이후 60조 중반대로 증가세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초 빠르게 상승했던 증시 모멘텀이 둔화되면서 개인 자금 유입 속도가 느려지고 있습니다. 현재 경기 회복 기대에 따른 기업 이익 증가에 따라 코스피 이익의 전망은 계속 상향 조정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연말까지 20%가량 상승할 힘이..
2월 주식 시장의 경우 애플 카 이슈 소멸과, 채권 수익률 급등에 의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현재 1개월간 흔히 말하는 박스피에 맴돌고 있게 만들었습니다. 이제 기다리던 3월 주식시장은 펀더멘탈적으로 모멘텀 개선이 본격화되는 시기인 만큼 개인 투자자들도 자기가 가지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점검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3월 주식시장에 우리가 가장 관심 깊게 들어야 할 것은 바이든 정부의 재정부양책 통과, 중국의 자립경제 수립, 코로나 백신 보급 여부에 따라 지수에 큰 반등이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은 나라별 재정부양책과 제로 금리로 인해 막대한 돈이 주식 시장으로 들어왔지만 이제 이러한 유동성 장세도 금리 상승과 유동성에 둔화에 따라 다시 한번 더 종목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할 때 입니다. 주식시장은..
코스피는 1월 말 이후 재차 3,000선을 하회하다가 금일 3,000선이 깨지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전일 파월 fed의 장 증언을 통해 최근 금리 상승에 대해 '경기에 대한 자신감' 표현으로 언급하였지만 자산 매입 관련의 경우 원론적인 견해를 반복해 아직까지 시장 참여자들에게는 큰 기대감을 못 미치는 것을 보여줍니다. 2020년부터 2021년 1월까지, 주식시장은 재정정책의 긍정적 효과에 따라 강한 유동성 장세를 보였습니다. 지금 추가 경기부양책에 따른 국채 공급 부담, 백신 보급에 따른 경기 개선 기대감, 기저효과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까지 맞물리며 채권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리 상승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스크 등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에 있습니다. 금일 증시의 폭락의 가장 큰 이유는..
한국 증시는 2월 마지막 주에도 하락하는 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채권 금리 상승으로 외국인과 기관의 차익 실현 목적 매물의 출회로 지속적인 하락 추세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현재 주식 시장의 상승요인: 미국의 추가 부양책 3월 중 통과 가능성, 기업 증익 사이클 유효 현재 주가 시장의 하락 요인: 금리 상승 속도 부담감, 외국인 순매도세 지속 우려 상승, 하락 요인을 보고 현재 비중 축소보다는 보유 및 관망으로 2월 마지막 주 마무리하시는 게 적절할 거 같습니다. 보유 종목의 주가 흐름보다는 코스피 코스닥 외국인 및 기관의 매수/매도세를 보고 대응하시는 게 좋습니다. 국내외 경제/증시 동향 - 쿠팡의 뉴욕 증시 IPO에 주중 국내 증시 인터넷 (플랫폼) 및 관련 업종 강세에 집중해볼 필요가 있습..